맨위로가기

남태평양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태평양 해전은 1942년 10월 26일, 과달카날 전역의 일환으로 벌어진 해전으로, 미국과 일본 간의 항공모함 중심의 전투였다. 일본은 헨더슨 비행장 탈환을 목표로 항공모함 기동 부대를 투입했고, 미군은 이를 방어하기 위해 맞섰다. 전투 결과, 미군은 항공모함 호넷을 잃고 엔터프라이즈가 피해를 입었지만, 헨더슨 비행장을 사수하며 전략적 목표를 달성했다. 일본은 항공모함 쇼카쿠와 즈이호를 손상시키고 숙련된 항공 승무원들을 대거 잃어 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이 해전은 과달카날 전역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미군의 반격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로몬 제도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 솔로몬 제도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동부 솔로몬 해전
    1942년 8월 솔로몬 제도 동부 해역에서 벌어진 동부 솔로몬 해전은 과달카날 전투의 일부로, 일본군의 과달카날 재탈환 시도를 저지하고 연합군의 보급로를 확보하기 위한 항공모함 중심의 해전이었으며, 일본 해군의 항공 전력 손실을 야기하여 전략적으로 연합군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 1942년 10월 -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는 1942년 이집트 엘 알라메인에서 연합군이 추축군을 격파하고 북아프리카 전역의 전세를 역전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 1942년 10월 - 스탈린그라드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추축국이 소련의 스탈린그라드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 중 하나로, 소련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군사사 - 일본 본토 공습
    일본 본토 공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이 일본의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감행한 일련의 공중 공격으로, 도시, 군사 시설, 산업 시설을 공격하여 전쟁 수행 능력을 약화시켰으며, 수십만 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도시 파괴를 야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군사사 - 일본 군국주의
    일본 군국주의는 메이지 유신 이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일본 사회를 지배한 군부의 팽창주의적 이데올로기로, 부국강병 정책, 서구 열강 경쟁 의식, 대공황 등의 배경 속에서 내셔널리즘 고조, 사상 통제, 군부의 독립적인 권력 행사 등의 특징을 보이며 침략 전쟁을 일으켰으나 태평양 전쟁 패배로 종말을 맞이했다.
남태평양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USS 엔터프라이즈 (CV-6)와 호위함들, 1942년 10월 26일
USS 엔터프라이즈 (CV-6) (좌측 중앙)과 호위함들, 전투 중, 1942년 10월 26일
전투 정보
전투명남태평양 해전 (南太平洋海戦)
분쟁태평양 전쟁 / 대동아 전쟁
작전명솔로몬 제도의 전투
날짜1942년 10월 25일–27일
장소솔로몬 제도 산타크루즈 제도 해역
결과일본의 전술적 승리, 미군의 가동 가능한 항공모함 일시적 공백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교전국 2일본 제국
지휘관
미국윌리엄 홀시
일본야마모토 이소로쿠
전력
미국항공모함 2척, 전함 1척,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3척, 구축함 14척, 항공기 136기
일본항공모함 4척, 전함 4척, 중순양함 8척, 경순양함 2척, 구축함 24척, 항공기 199기, 기지 항공대
피해 규모
미국전사자 266명, 항공모함 1척 침몰 (USS 호넷), 구축함 1척 침몰, 항공모함 1척 손상, 전함 1척 손상, 경순양함 1척 손상, 구축함 2척 손상, 항공기 81기 파괴, 조종사 및 승무원 26명 사망
일본전사자 400–500명, 항공모함 2척 손상 (쇼카쿠, 즈이호), 중순양함 1척 손상 (지쿠마), 구축함 1척 손상 (데루즈키), 항공기 99기 파괴, 조종사 및 승무원 148명 사망

2. 배경

1942년 8월, 미군은 과달카날에 상륙하여 일본군이 건설한 비행장을 점령하고 헨더슨 비행장으로 명명했다. 이 비행장은 남태평양 지역의 제해권과 제공권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96] 일본군은 헨더슨 비행장을 탈환하기 위해 육군 부대를 투입하고, 해군은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포함한 함정을 동원하여 지원했다.[97]

미군은 비행장을 사수하기 위해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파견하여 일본군과 대치했다. 8월 24일, 동부 솔로몬 해전(일본측 호칭: 제2차 솔로몬 해전)에서 일본군은 경항공모함 류조를 잃었지만, 미군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에 피해를 입혔다. 8월 31일, 일본 잠수함I-26의 공격으로 미군 항공모함 새러토가가 대파되어 장기간 수리를 위해 전선에서 이탈했다.[10][11] 9월 15일, 일본 잠수함I-19의 공격으로 미군 항공모함 와스프가 침몰하고, 전함 노스캐롤라이나도 피해를 입었다. 이로써 태평양에서 작전 가능한 미군 항공모함은 호넷만 남게 되었다.[13]

10월, 미군은 수리 중인 엔터프라이즈를 복귀시키고, 남태평양 지역 사령관을 로버트 L. 곰리 중장에서 윌리엄 홀시 중장으로 교체했다.[17] 10월 11일~12일,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 미 해군 부대는 일본 해군 부대를 격파했지만, 이틀 뒤 일본 전함 하루나와 콩고가 헨더슨 비행장을 포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14]

3. 전투 경과

과달카날 전투에서 중요한 헨더슨 비행장을 둘러싸고 벌어진 미일 양측의 해전이다.[96] 1942년 10월 하순, 일본 육군 제17군의 헨더슨 비행장 총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일본 해군은 항공모함 기동 부대를 투입했다.[97]

북쪽에서 진출하는 일본 함대와 남쪽에서 진출하는 미국 함대가 회전했다


미국 해군도 항공모함 기동 부대를 산타크루즈 제도 방면으로 파견하여 10월 26일 해전이 벌어졌다. 일본 해군은 전술적으로는 승리했지만, 일본 육군의 헨더슨 비행장 총공격은 실패했다. 전략적으로는 미국이 비행장을 유지하여 승리했다. 일본 해군 항공대의 소모도 커서 이후 작전에 영향을 주었다.[98]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해군 주력 항공모함 4척(아카기, 가가, 히류, 소류)을 격침시킨 미국 해군은 2개월 후 워치타워 작전을 발동, 미국 해병대가 툴라기 섬과 과달카날 섬에 상륙했다. 미군은 과달카날 섬의 일본군 비행장을 점령하고 헨더슨 비행장으로 명명했다.

일본군은 제1차 솔로몬 해전에서 승리했지만, 해군 육전대 수송선단은 툴라기 섬에 도착하지 못했다. 8월 18일 과달카날 섬에 상륙한 이치키 기요나오 육군 대령의 이치키 부대 선발대는 일루 강 도하 전투에서 전멸했다. 미군은 롱아일랜드로 헨더슨 비행장에 항공대를 공수했고, 이후 비행장은 증강되어 일본군 증원 부대는 지속적인 공습에 노출되었다.

8월 24일, 일본 함대는 사라토가 중심의 제11기동 부대와 엔터프라이즈 중심의 제16기동 부대와 교전했다. (제2차 솔로몬 해전, 동부 솔로몬 해전) 미군은 류조를 격침시키고 지토세를 격파, 일본군 수송선단을 저지했다. 일본군은 쥐 수송을 시작했고, 엔터프라이즈는 진주만으로 회항했다.

8월 31일, 이오 제26잠수함 공격으로 사라토가가 대파되어 장기 수리하게 되었다. 9월 12일, 가와구치 기요타케 소장의 가와구치 부대가 헨더슨 비행장에 총공격을 감행했다. 9월 15일, 이19 공격으로 와스프가 침몰하고 노스캐롤라이나도 중파되었다. 태평양에서 작전 가능한 정규 항공모함은 호넷, 신예 전함은 워싱턴뿐이었다.

미군은 엔터프라이즈와 사라토가 복귀를 서둘렀다. 엔터프라이즈는 10월 중순 수리를 마치고 사우스다코타와 함께 제16기동 부대를 편성, 10월 24일 에스피리투산토 섬 북동쪽에서 호넷 중심의 부대와 합류했다.

체스터 니미츠 태평양 함대 사령장관은 고름리 중장 대신 할제이 중장을 남서 지구 사령관으로 교체했다. 할제이는 일본 함대와 결전을 계획했고, 토마스 C. 킨케이드 소장이 지휘를 맡았다.

일본 해군 연합함대도 제17군의 총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제8함대 사령관 미카와 군이치 중장이 쥐 수송을 실시하고 닛신이 중장비를 수송했다. 제2함대 사령관 곤도 노부타케 중장(기함 "아타고")의 지원 부대와 제3함대 사령관 나구모 주이치 중장의 기동 부대가 트럭 정박지에 집결했다.

10월 7일, 미군 반격으로 제2사단이 후퇴하고 제17군 작전 계획에 차질이 생겨 총공격이 10월 25일로 연기되었다. 10월 11일, 곤도 노부타케 중장의 전진 부대와 기동 부대가 트럭 정박지를 출격했다. 10월 13-14일 특공대의 헨더슨 비행장 함포 사격 성공 후, 미군 공격으로 고속 수송선 3척이 격침되고 양륙 물자도 소실되었다.

10월 14일 제8함대 중순 2척, 10월 15일 제5전대와 제2수뢰전대 등이 비행장 포격을 실시했다. 10월 20일 밤, 제2항공전대 사령관 가쿠타 가쿠지 소장의 기함 히요에서 화재와 기관 고장이 발생, 준요로 기함 임무와 탑재기를 옮기고 트럭 정박지로 회항했다.

일본 육군 총공격은 여러 번 연기되었다. 연합함대는 연료와 월령 문제로 10월 23일까지 총공격을 요구했다. 미군은 연료 보급 선단을 편성, 제64기동 부대가 호위했다. 10월 15일, 일본군 공격으로 구축함 메러디스가 격침되고 예인선이 손상되었지만 연료 보급은 성공했다. 10월 20일, 이오 제176잠수함이 체스터를 대파시켰다.

일본 함대는 적 기동 부대 소재를 파악하지 못해 기습 위험이 있었다. 10월 22일, 지쿠마와 쇼게츠가 견제 부대로 분리되었으나 미 함대를 발견하지 못했다. 10월 23일, 연합함대는 경고를 발령했다.

일본군 기동 부대는 23일 전위 부대를 분리하고 육군 지원 태세에 들어갔으나, 총공격 연기로 북상했다. 나구모 기동 부대는 아라시를 파견해 대기하도록 했다. 24일,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함대 장관 명령으로 다시 남하했다.

일본 해군 해전 참가 부대는 지원 부대 지휘관(곤도, 기함 "아타고")이 전진 부대(제2함대)와 기동 부대(제3함대, 기함 "쇼카쿠")를 지휘했다.[122]

나구모 주이치 중장 지휘 기동 부대 본대는 제1항공전대(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 중순양함 구마노[123], 구축함(아라시, 마이카제, 유키카제, 토키츠카제, 아마츠카제, 하츠카제, 하마카제, 테루즈키)이었다. 아베 히로키 소장 지휘 기동 부대 전위 부대는 전함(히에이, 키리시마), 중순양함(토네, 치쿠마, 스즈야), 경순양함(나가라), 구축함(타니카제, 우라카제, 이소카제, 아키구모, 후우운, 마키구모, 유우구모)이었다. 본대 후방에는 보급 부대(구축함 노와키, 유조선 6척)가, 서쪽에는 곤도 노부타케 중장 지휘 전진 부대(아타고, 타카오, 묘코, 마야), 전함(콩고, 하루나), 제2수뢰전대, 준요)가 있었다.[122]

기동 부대 전위 부대는 항공모함 공격을 흡수하기 위해 전방에 배치되었다.

3. 1. 양측의 전력

10월 11일경, 일본 제국 해군은 항공모함, 전함 및 호위함으로 구성된 대규모 함대를 트루크에서 출격시켜 과달카날 공세를 지원했다. 같은 날, 주요 증원 수송대가 과달카날에 도착했지만, 지원 중순양함 함대는 헨더슨 비행장을 폭격하지 못하고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 패퇴했다.[22] 이후 10월 13일부터 16일 사이에 전함과 중순양함에 의한 세 차례의 대규모 폭격 임무가 수행되었다.[22] 10월 15일, 수송선단을 공격하던 미군 함재기가 구축함 USS 머레디스를 격침시켰다.[23]

10월 20일부터 25일까지, 과달카날의 일본 육군은 헨더슨 비행장 전투에서 미군 방어군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격퇴되었다.[26] 일본군은 헨더슨 비행장을 점령했다고 오판하고, 10월 25일 아침에 쇼트랜드 제도에서 과달카날로 군함을 보내 지상군을 지원했다. 헨더슨 비행장의 항공기는 하루 종일 수송대를 공격하여 경순양함 유라를 격침시키고 구축함 아키즈키에 피해를 입혔다.[27]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연합 함대는 10월 25일에도 연합군 해군과의 교전을 위해 남부 솔로몬 제도 인근에서 계속 기동했다. 당시 일본 해군은 4척의 항공모함(대형 2척, 중형 1척, 경형 1척)을 보유하고 있었다.[28]

미국 측에서는 토머스 C. 킨케이드 소장의 지휘 아래, ''호넷''과 ''엔터프라이즈'' 기동 부대가 10월 25일 산타크루즈 제도 북쪽으로 이동하여 일본 해군 부대를 수색했다.[29] 미 해군 군함들은 두 개의 분리된 항공모함 부대로 배치되었으며, 서로 약 10nmi 떨어져 있었다.[29]

3. 1. 1. 일본군

일본 해군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곤도 노부타케 중장이 중순양함 愛宕|아타고일본어에 탑승하여 지휘하는 '선진' 부대는 준요, 중순양함 4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7척으로 구성되었다. 구리타 다케오 소장이 지휘하는 지원 그룹은 전함 2척과 구축함 2척으로 구성되었다.[28] 나구모 주이치 부제독이 翔鶴|쇼카쿠일본어에 탑승하여 지휘하는 '주력' 부대는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 중순양함 1척, 구축함 8척으로 구성되었다. 아베 히로아키 소장이 전함 比叡|히에이일본어에 탑승하여 지휘하는 '전위' 부대는 전함 2척,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7척으로 구성되었다. 곤도는 선진 부대를 지휘하는 것 외에도 세 부대의 전체 사령관 역할을 했다.[28]

일본 해군 (1942년 10월 26일)
부대구성비고
선진 부대준요, 중순양함 4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7척곤도 노부타케 중장, 기함: 愛宕|아타고일본어
지원 그룹전함 2척, 구축함 2척구리타 다케오 소장
주력 부대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 중순양함 1척, 구축함 8척나구모 주이치 부제독, 기함: 翔鶴|쇼카쿠일본어
전위 부대전함 2척,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함 7척아베 히로아키 소장, 기함: 比叡|히에이일본어


3. 1. 2. 미군

토머스 C. 킨케이드 소장의 지휘 아래, ''호넷''과 ''엔터프라이즈'' 기동 부대가 10월 25일 산타크루즈 제도 북쪽으로 이동하여 일본 해군 부대를 수색했다.[29] 미 해군 군함들은 두 개의 분리된 항공모함 부대로 배치되었으며, 서로 약 10nmi 떨어져 있었다.[29]

3. 2. 양측의 탐색전

10월 25일, 일본군은 미군 기동부대를 찾기 위해 수색을 강화했지만 발견하지 못했다.[124][125] 같은 날, 미군 PBY 카탈리나 비행정이 일본군 기동부대를 발견했다.

10월 26일 새벽, 일본군 기동부대는 미군의 기습을 우려하여 북쪽으로 이동했다.[138] 이후 함상 공격기 13척을 동원해 2단계 수색을 실시했다.[139] 한편, 미군도 SBD 돈틀리스 16기를 발진시켜 수색을 시작했다.[141]

3. 3. 일본군의 공격

일본군은 미 해군에 먼저 공격을 개시하기 위해 경쟁했다. 07시 40분, 무라타 시게하루 소령이 지휘하는 제1차 공격대(급강하 폭격기 21대, 어뢰 폭격기 20대, 전투기 21대, 연락기 2대)가 ''호넷''을 향해 발진했다. 같은 시각 미군 정찰기 2대가 ''즈이호''를 급강하 공격하여 500파운드 폭탄 2발을 명중시켜 비행 갑판에 피해를 입혔다.[34]

08시 10분, ''쇼카쿠''는 세키 마모루 소좌가 지휘하는 제2차 공격대(급강하 폭격기 19대, 전투기 5대)를 발진시켰고, ''즈이카쿠''는 08시 40분에 어뢰 폭격기 16대와 전투기 4대로 구성된 제2차 공격대를 발진시켰다. 09시 10분까지 일본군은 1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미 해군 항공모함 공격에 투입했다.[36]

08시 52분, 일본 공격 부대 지휘관은 ''호넷'' 기동 부대를 발견하고 공격을 위해 항공기를 배치했다. 미 해군 항공모함은 접근하는 일본 항공기를 레이더로 탐지했지만, 통신 문제, 실수, 원시적인 통제 절차 등으로 인해 소수의 와일드캣만이 일본 항공기를 요격할 수 있었다.[43] 대부분의 일본 항공기는 미 해군 전투기의 방해를 거의 받지 않고 공격을 시작했다.[45]

09시 09분, 일본 어뢰 폭격기 20대와 급강하 폭격기 16대가 ''호넷''을 공격했다. 09시 12분, 급강하 폭격기 1대가 ''호넷''의 비행 갑판에 250kg 반관통 폭탄을 명중시켜 60명이 사망했다. 잠시 후, 242kg 고폭탄이 비행 갑판에 명중하여 30명이 사망했다. 1분 후, 세 번째 폭탄이 ''호넷''에 명중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47] 09시 14분, 일본 급강하 폭격기가 ''호넷''의 굴뚝에 추락하여 7명이 사망했다.[48] 어뢰 폭격기들은 09시 13분에서 09시 17분 사이에 ''호넷''에 어뢰 2발을 명중시켜 엔진을 파괴했다. ''호넷''이 정지하자, 손상된 일본 급강하 폭격기가 고의로 항공모함 측면에 추락하여 화재가 발생했다. 09시 20분, 일본 항공기는 ''호넷''을 불태우며 떠났다.[49]

일본 해군 기동 부대의 세 차례에 걸친 공격으로 ''호넷''은 전투력을 상실했고, ''엔터프라이즈''도 중파되었다. 일본 해군은 잔존기를 모두 투입하여 미 함대의 추격을 시작했다. 오전 11시 13분, 류호에서 제2차 공격대(함공 7기, 제로센 8기)가 발진했다. 이어서 11시 15분에 ''즈이카쿠''에서 제3차 공격대(제로센 5기, 함폭 2기, 함공 6기)가 발진했다.

''류호'' 제2차 공격대는 13시 13분에 전장에 도착하여 ''호넷''을 예인 중인 노샘프턴을 습격했다. ''호넷''에는 어뢰 1발이 명중하여 경사가 14도로 증가했다. ''즈이카쿠'' 제3차 공격대는 ''호넷''을 폭격하여 1발이 지근탄이 되었고, 그로 인해 경사가 20도가 되었다. 함공대가 고도 2000m에서 800kg 폭탄에 의한 수평 폭격을 실시하여 1발이 비행 갑판 후단에 명중했다.

13시 35분, ''류호''에서 제3차 공격대(함폭 4기, 제로센 6기)가 발진했다. 15시 10분, ''류호'' 제3차 공격대는 표류 중인 ''호넷''을 발견, 폭탄 1발을 명중시켰다.

3. 4. 미군의 반격

06시 45분, 미군 정찰기가 나구모 주력 부대의 항공모함을 발견했다.[33] 06시 58분, 일본 정찰기가 ''호넷''의 기동 부대 위치를 보고했다.[34] 양측은 서로 먼저 공격하기 위해 경쟁했다. 일본군은 07시 40분까지 64대의 항공기를 ''호넷''을 향해 발진시켰다.[35] 같은 시각, 미군 SBD-3 돈틀리스 정찰기 2대가 ''즈이호''를 급강하 공격하여 약 226.80kg 폭탄 2발을 명중시켜 비행 갑판을 파괴했다.[34]

한편, 곤도는 아베의 선봉 부대에 미 해군 군함을 요격하기 위해 전속력으로 전진하라고 명령했다. 08시 10분, ''쇼카쿠''는 두 번째 공격 부대를 발진시켰고, ''즈이카쿠''는 08시 40분에 발진시켰다. 09시 10분까지 일본군은 1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미 해군 항공모함 공격을 위해 출격시켰다.[36]

미 해군 공격기는 일본군보다 약 20분 늦게 출격했다. 미군 항공기는 소규모 그룹으로 일본 함선을 향해 이동했다. 첫 번째 그룹은 08시에, 두 번째 그룹은 08시 10분에, 세 번째 그룹은 08시 20분에 출격했다.[37]

08시 40분, 양측 공격 항공기 편대가 서로의 시야에 들어왔다. 히다카 대위의 9대의 ''즈이호'' 제로 전투기는 ''엔터프라이즈'' 그룹을 기습하여 제로 전투기 4대, 와일드캣 3대, TBF 2대를 격추했다.[38]

미 해군의 공격 이후 비행 갑판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쇼카쿠'' 승무원


08시 50분, ''호넷''에서 출격한 미군 선두 공격 편대는 일본 항공모함을 발견하고 공격을 준비했다. 첫 번째 그룹의 급강하 폭격기는 09시 27분에 ''쇼카쿠''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여 폭탄 3~6발을 명중시켜 비행 갑판을 파괴하고 함선 내부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39] 첫 번째 공격 부대의 TBF 6대는 일본 중순양함 토네를 공격했으나 모든 어뢰를 빗나갔다.[40]

1942년 10월 26일 공습을 받는 ''치쿠마''. 폭탄이 브릿지에 직접 명중하여 함선 중앙에서 연기가 솟아오르고 있다


''엔터프라이즈''에서 출격한 두 번째 미군 공격 편대의 TBF는 일본 중순양함 스즈야를 공격했으나 피해를 입히지 못했다. 거의 같은 시각, ''호넷''에서 출격한 세 번째 미군 공격 편대의 SBD 9대는 일본 중순양함 치쿠마를 공격하여 약 453.59kg 폭탄 2발을 명중시켜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그 후 ''엔터프라이즈''의 SBD 3대가 도착하여 ''치쿠마''를 공격하여 더 큰 피해를 입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공격 그룹의 TBF 9대가 도착하여 ''치쿠마''를 공격하여 폭탄 1발을 더 명중시켰다. ''치쿠마''는 구축함 2척의 호위를 받으며 전투에서 철수하여 트루크로 향했다.[41]

3. 5. 미군의 철수와 일본군의 추격

일본 해군의 해전 참가 부대는 지원 부대 지휘관(곤도 장관, 기함 "아타고")이 전진 부대(제2함대)와 기동 부대(제3함대, 기함 "쇼카쿠")를 지휘했다.[122] 지원 부대 지휘관은 전진 부대 지휘관을 겸했다.[122]

제3함대 사령장관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지휘하는 기동 부대 본대는 제1항공전대(항공모함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 중순양함 구마노[123], 구축함(아라시, 마이카제, 유키카제, 토키츠카제, 아마츠카제, 하츠카제, 하마카제, 테루즈키)로 구성되었다. 제11전대 사령관 아베 히로키 소장이 지휘하는 기동 부대 전위 부대는 전함(히에이, 키리시마), 중순양함(토네, 치쿠마, 스즈야), 경순양함(나가라), 구축함(타니카제, 우라카제, 이소카제, 아키구모, 후우운, 마키구모, 유우구모)으로 구성되었다. 본대 후방에는 보급 부대(구축함 노와키, 유조선 6척)가 있었다. 기동 부대보다 서쪽에는 제2함대 사령장관 곤도 노부타케 중장이 지휘하는 전진 부대(중순양함 아타고, 타카오, 묘코, 마야), 전함(콩고, 하루나), 제2수뢰전대, 제2항공전대(준요)가 있었다.[122]

기동 부대 전위 부대는 항공모함으로 향하는 적기의 공격을 흡수하기 위해 기동 부대 전방에 가로로 일렬로 정렬했다.

4. 결과 및 영향

일본군은 호넷을 격침시키고 엔터프라이즈에 피해를 입혀 전술적으로 승리했지만, 쇼카쿠와 즈이호가 피해를 입고 많은 항공기를 잃었다.[98] 미군은 호넷을 잃었지만, 헨더슨 비행장을 지켜내 전략적 목표를 달성했다.[97]

일본 해군은 숙련된 조종사 148명을 잃어[231] 이후 작전에 큰 차질을 빚었다. 이는 미드웨이 해전과 과달카날 섬을 둘러싼 일련의 해전에서 하와이 기습 이후 일본 해군 항공모함 항공 부대가 완전히 소모된 결과였다.[98] 재건을 목표로 했던 항공 부대는 이호 작전, 로호 작전 (부겐빌 섬 항공전), 트럭 섬 공습, 마리아나 해전, 대만 해전 등에서 소모되었으며, 이후 종전까지 동일 규모·수준의 부대가 되지 못했다.

이 전투는 과달카날 전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미군의 반격이 본격화되었다.

일본군의 피해는 다음과 같다.[230]

피해 종류내용
대파쇼카쿠, 중순양함 치쿠마
중파즈이호
소파구축함 테루즈키
항공기 손실92기
항공기 탑승원 전사148명[231]
함선 승무원 전사250-350명



제2 항공전대 사령관 가쿠타 가쿠지 소장은 용맹하고 과감한 지휘로 일본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특히, 불타고 있는 호넷 대신 엔터프라이즈를 공격하도록 즉시 명령을 변경하는 등 유연하고 즉각적인 지휘는 높이 평가받고 있다.[233] 오쿠미야 마사타케 제2 항공전대 참모는 일본군 수상함정(곤도 중장)의 추격은 소극적이며 "수상 부대에도 가쿠타가 있었으면"이라고 말했다.[234]

반면, 나구모 주이치 중장은 미드웨이 해전 이후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즈이카쿠의 지휘를 가쿠타 소장에게 위임하고 전장을 떠났으며, 이후 엔터프라이즈를 격파하고 호넷에 공격을 가한 것은 가쿠타 소장의 지휘에 의한 것이다.[238] 본 해전 이후 나구모 중장은 사세보 진수부 사령장관으로 임명되었다.

5. 한국의 관점

산타크루즈 해전(남태평양 해전)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의 공세가 꺾이는 중요한 계기가 된 전투로 평가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전투를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 야욕이 좌절되고, 민주주의와 자유의 가치가 수호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이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지만,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되어야 한다.[232]

참조

[1] 서적 Guadalcanal
[2] 웹사이트 Order of Battle – Battle of the Santa Cruz Islands http://www.navweaps.[...] 2009-09-21
[3] 서적 Guadalcanal
[4] 논문 Guadalcanal Campaign
[5] 논문 Guadalcanal Campaign
[6] 서적 Pearl Harbor to Guadalcanal
[7] 서적 Carrier Clash
[8] 서적 Guadalcanal
[9] 서적 Carrier Strike
[10] 서적 Carrier Strike
[11] 서적 Guadalcanal
[12] 서적 Carrier Strike
[13] 서적 Carrier Strike
[14] 서적 Guadalcanal
[15] 서적 Carrier Strike
[16] 서적 The Solomons Campaigns
[17] 서적 The Solomons Campaigns
[18] 서적 Guadalcanal
[19] 서적 Carrier Strike
[20] 서적 Carrier Strike
[21] 서적 Japanese Destroyer Captain
[22] 웹사이트 Japanese Transports http://www.combinedf[...]
[23] 웹사이트 Imperial lattops http://www.combinedf[...]
[24] 웹사이트 Imperial Flattops http://www.combinedf[...]
[25] 웹사이트 Imperial flattops http://www.combinedf[...]
[26] 서적 Carrier Strike
[27] 서적 Carrier Strike
[28] 서적 Guadalcanal
[29] 서적 Japanese Destroyer Captain
[30] 서적 Carrier Strike
[31] 서적 Carrier Strike
[32] 서적 Guadalcanal
[33] 서적 Carrier Strike
[34] 서적 Guadalcanal
[35] 서적 Carrier Strike
[36] 서적 Guadalcanal
[37] 서적 Carrier Strike
[38] 서적 Guadalcanal
[39] 서적 Carrier Strike
[40] 서적 Guadalcanal
[41] 서적 Japanese Destroyer Captain
[42] 서적 Carrier Strike
[43] 서적 Carrier Strike
[44] 서적 Guadalcanal Campaign
[45] 서적 Guadalcanal
[46] 서적 Carrier Strike
[47] 서적 Carrier Strike
[48] 서적 Guadalcanal
[49] 서적 Carrier Strike
[50] 서적 Guadalcanal
[51] 서적 Carrier Strike
[52] 서적 Guadalcanal: The Carrier Battles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Inc. 1987
[53] 서적 Japanese Navy
[54] 서적 The Ships and Aircraft of the United States Fleet
[55] 서적 Carrier Strike
[56] 서적 Carrier Strike
[57] 서적 Guadalcanal
[58] 서적 Guadalcanal
[59] 서적 Guadalcanal
[60] 서적 Carrier Strike
[61] 서적 Carrier Strike
[62] 서적 Carrier Strike
[63] 서적 Guadalcanal
[64] 서적 Guadalcanal
[65] 서적 Guadalcanal Campaign
[66] 서적 Carrier Strike
[67] 서적 Guadalcanal Campaign
[68] 서적 Japanese Destroyer Captain
[69] 서적 Guadalcanal
[70] 서적 Carrier Strike
[71] 서적 Carrier Strike
[72] 서적 Japanese Navy
[72] 서적 Guadalcanal
[73] 서적 Islands of Destiny: The Solomons Campaign and the Eclipse of the Rising Sun
[74] 서적 Titans of the Seas
[75] 서적 Zero!
[76]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Santa Cruz Islands, 26 October 1942' http://www.ibiblio.o[...] Publications Branch, Office of Naval Intelligence, United States Navy 2006-05-17
[77] 웹사이트 USS Enterprise CV-6 – 1942 http://www.cv6.org/1[...]
[78] 웹사이트 USS Enterprise CV-6 http://www.pacificwr[...]
[79] 기타 Battle 360 The History Channel 2008
[80] 서적 Enterprise
[81] 서적 Enterprise
[82] 문서 Battle of Surigao Strait
[83] 서적 Carrier Strike
[84] 웹사이트 IJN Jun'yō':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2013
[85] 웹사이트 'IJN Zuikaku ("Happy Crane"):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2010-09
[86] 웹사이트 Imperial Japanese Navy Page (Combinedfleet.com) http://www.combinedf[...]
[86] 웹사이트 Imperial Japanese Navy Page (Combinedfleet.com) http://www.combinedf[...]
[87] 서적 Guadalcanal Campaign
[88] 서적 Neptune's Inferno: The U.S. Navy at Guadalcanal
[89] 서적 Guadalcanal
[89] 서적 Carrier Strike
[89] 서적 Guadalcanal Campaign
[90] 서적
[91] 웹사이트 Imperial flattops http://www.combinedf[...] 2022-01-27
[92] 웹사이트 Imperial Flattops http://www.combinedf[...] 2022-01-27
[93] 서적 Japanese Destroyer Captain
[94] 서적 Islands of Destiny: The Solomons Campaign and the Eclipse of the Rising Sun NAL
[95] 서적 Islands of Destiny: The Solomons Campaign and the Eclipse of the Rising Sun
[96] 문서 叢書83ガ島戦
[97] 문서 S1706第五戦隊日誌(4)
[98] 문서 草鹿回想
[99] 문서 BIG E上
[100] 문서 叢書83ガ島戦
[101] 문서 叢書83ガ島戦
[102] 문서 戦藻録(九版)
[102] 문서 聯合艦隊作戦室
[103] 문서 叢書83ガ島戦
[104] 문서 叢書83ガ島戦
[105] 문서 叢書83ガ島戦
[106] 문서 "#S1710第五戦隊日誌(4)]] p.6〔 (四)十月十五日午前「サンクリストバル」島ノ南東九〇浬附近ニ敵輸送船二、巡洋艦一、駆逐艦三隻出現セルヲ以テ機動部隊ハ直ニ之ガ攻撃ヲ開始シ次デ夜戰ヲ企図シテ一部兵力ヲ南下セシム 〕"
[107] 문서 "#S1706第五戦隊日誌(4)]] pp.51-52(昭和17年10月20日項)(略)〔 (イ)一〇二八(飛行機)11Af「インジスペンサブル」礁ノ一二〇度一〇〇浬附近ニ敵大部隊(B×3基幹)ヲ発見ス/(ロ)「ガ」飛行場攻撃十月二十二日ト決定/(ハ)一九一六「ソロモン」群島南東方ニ於テ伊一七六潜 敵戰艦一 二魚雷二本命中) 〕"
[108] 문서 "#S1706第五戦隊日誌(4)]] p.52(昭和17年10月21日項)(略)〔 (イ)〇八〇〇(飛行機)11Af「インジスペンサブル」礁ノ一〇二度一五〇浬附近ニ敵B×2 C×2又其ノ東南東三〇浬ニB×1 C×1 d×2ヲ発見ス/(ロ)「ガ」飛行場突入日ヲ十月二十三日ニ延期セラル 〕"
[109] 문서 "#S1706第五戦隊日誌(4)]] pp.8-9〔 (七)爾後陸軍部隊ノ總攻撃準備完成ヲ俟チツツ機宜「ソロモン」群島北東海面ヲ行動索敵ニ從事 二十三日陸軍ノ準備漸ク完成セルノ報ニ接シ二十四日夜間陸軍ノ總攻撃ニ策應スル如ク南下進出ヲ始ム 此ノ間敵主力艦隊ハ常時「ソロモン」群島南方海面ヲ遊弋中ナリシモ敵機動部隊ノ動静ニ関シ得ル所ナシ東方ヨリスル敵奇襲ノ懸念漸ク濃厚トナレリ 〕"
[110] 서적 叢書83ガ島戦
[111] 문서 "#筑摩日誌(1)]] p.5〔 10月23日2354、敵飛行艇の雷撃を受く。被害なし 〕"
[112] 서적 叢書83ガ島戦
[113] 문서 "#草鹿回想]]172頁「敵主力所在不明のまま南下」、[[#海軍美談]]139-140頁"
[114] 서적 叢書83ガ島戦
[115] 문서 "#戦藻録(九版)]]pp.213-214"
[116] 서적 叢書83ガ島戦
[117] 서적 叢書83ガ島戦
[118] 웹사이트 Chapter IV: 1942 http://www.ibiblio.o[...] HyperWar 2014-04-30
[119] 문서 "#響の栄光]] p.235"
[120] 문서 "#木俣水雷]] pp.212-213"
[121] 서적 叢書83ガ島戦
[122] 서적 叢書83ガ島戦
[123] 문서 "#第七戦隊記録(2)]] p.4〔 (ロ)任務.編成.配備 (一)軍隊区分「カ」號作戰支援部隊機動部隊前衛/(二)任務「カ」號作戰支援、敵艦隊捕捉撃滅/(三)本期間中ノ変化 十八日〇九〇八旗艦ヲ鈴谷ニ変更、二十日一〇二九熊野ハ機動部隊本隊ニ編入 〕"
[124] 문서 "#11戦隊日誌(4)]]pp.3-4"
[125] 서적 叢書83ガ島戦
[126] 문서 "#BIG E上]]227頁(戦史叢書では索敵隊12機、攻撃隊29機発艦としている)"
[127] 서적 叢書83ガ島戦
[128] 문서 "#機動部隊(学研M)]]80頁"
[129] 문서 "軍艦愛宕戦闘詳報(2)」p.18〔 飛行場及び敵陣地を攻撃し相当の損害を与えたり、我が方被害なし 〕、[[#山川艦爆隊]]130-131頁"
[130] 문서 "#戦藻録(九版)]]217頁、[[#高戸主計大尉]]29頁、[[#橋本信号員]]238頁"
[131] 서적 叢書83ガ島戦
[132] 문서 "#11戦隊日誌(4)]]p.24"
[133] 문서 "#戦藻録(九版)]]219頁"
[134] 문서 "#機動部隊(学研M)]]84頁、[[#聯合艦隊作戦室]]120頁"
[135] 문서 "#第七戦隊記録(3)]] p.12〔 二十五|二二三三|第七戰隊前方直衛駆逐艦磯風附近ニ爆彈ラシキモノヲ投下セルヲ認ム(翌日磯風ヨリノ通報ニ依リ敵飛行艇ノ雷撃ナリシコト判明) 〕"
[136] 서적 叢書83ガ島戦
[137] 문서 "#機動部隊(学研M)]]86-87頁、[[#草鹿回想]]174頁、[[#橋本信号員]]239頁"
[138] 문서 "#機動部隊(学研M)]]86-87頁、[[#海軍美談]]145頁"
[139] 서적 叢書83ガ島戦
[140] 문서 "#愛宕奮戦記]]213頁、[[#愛宕日誌(4)]]p.6"
[141] 문서 229頁
[142] 문서 86-87頁、240頁
[143] 문서 218頁、p.6
[144] 문서 pp.14-15
[145] 문서 pp.6-7
[146] 문서 pp.19-20
[147] 문서 286-289頁「一航戦第一次攻撃」
[148] 문서 88頁、241頁
[149] 문서 289-292頁「一航戦第二次攻撃」
[150] 문서 150頁
[151] 문서 pp.16-17
[152] 문서 88頁、pp.8-10
[153] 문서 88頁
[154] 문서 軍艦愛宕戦闘詳報(2) p.18〔 〇四五〇、KDB索敵機の敵大部隊を発見の報を得(中略)本隊は直ちに敵方に追撃、KDBと共に之を攻撃す 〕
[155] 문서 292-294頁「二航戦第一次攻撃」
[156] 문서 pp.7,12
[157] 문서 p.7〔 0828:第二航空戦隊(飛鷹欠)、親潮、黒潮をKDB指揮官の指揮下に入る(中略)残る前進部隊は本職之を率い敵方に進出 〕〔 1045:機動部隊前衛を本職の直接指揮下に入る 〕、p.13、pp.7,12など。
[158] 문서 230頁
[159] 문서 231頁
[160] 문서 236頁
[161] 문서 294-296頁「『翔鶴』の損傷」
[162] 문서 233頁
[163] 문서 289-290頁「『瑞鳳』の損傷」
[164] 문서 150-151頁
[165] 문서 301-302頁「『翔鶴、瑞鳳』の戦場離脱と二航戦の作戦」
[166] 문서 143-144頁
[167] 문서 116頁
[168] 문서 241頁
[169] 간행물 The Battle of the Santa Cruz Islands The Office of Navy Intelligence
[170] 문서 117頁
[171] 문서 118頁
[172] 문서 p.521、p.19
[173] 문서 255頁
[174] 간행물 p.65 The Office of Navy Intelligence
[175] 문서 242頁
[176] 문서 海軍美談
[177] 문서 第八戦隊日誌(4) 1942-10-26
[178] 문서 第八戦隊日誌(4)
[179] 서적 叢書83ガ島戦
[180] 문서 第七戦隊記録(2) 1942-10-26
[181] 서적 BIG E上
[182] 문서 第八戦隊日誌(4) 1942-10-26
[182] 문서 筑摩日誌(1)
[183] 문서 隼鷹飛行調書(2)
[183] 서적 機動部隊(学研M)
[184] 서적 山川艦爆隊
[185] 서적 叢書83ガ島戦
[186] 서적 機動部隊(学研M)
[187] 서적 山川艦爆隊
[188] 서적 山川艦爆隊
[189] 서적 BIG E上
[190] 서적 山川艦爆隊
[191] 서적 ワシントン
[192] 서적 BIG E上
[193] 서적 山川艦爆隊
[194] 문서 隼鷹飛行調書(2)
[194] 서적 山川艦爆隊
[194] 서적 機動部隊(学研M)
[195] 서적 機動部隊(学研M)
[196] 문서 瑞鶴飛行調書(4)
[197] 서적 叢書83ガ島戦
[198] 문서 瑞鳳飛行調書(2)
[198] 문서 瑞鶴飛行調書(4)
[199] 서적 空母瑞鳳生涯
[200] 문서 翔鶴飛行調書(3)
[200] 문서 瑞鶴飛行調書(4)
[201] 서적 空母雷撃隊
[202] 서적 空母雷撃隊
[203] 서적 空母瑞鳳生涯
[204] 문서 11戦隊日誌(4)
[204] 문서 第八戦隊日誌(4) 1942-10-26
[205] 서적 山川艦爆隊
[205] 문서 隼鷹飛行調書(2)
[206] 서적 叢書83ガ島戦
[207] 서적 機動部隊(学研M)
[208] 서적 山川艦爆隊
[209] 서적 叢書83ガ島戦
[210] 문서 第八戦隊日誌(4) 1942-10-26
[211] 문서 愛宕日誌(4)
[212] 문서 S1710第五戦隊日誌(4)
[213] 문서 愛宕奮戦記
[214] 문서 戦藻録(九版)
[214] 문서 聯合艦隊作戦室
[215] 문서 愛宕奮戦記
[215] 문서 戦藻録(九版)
[216] 문서 叢書83ガ島戦
[217] 문서 機動部隊(学研M)
[218] 간행물 昭和17年10月29日(木)海軍公報(部内限)号外 p.32 C120704233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9] 문서 戦藻録(九版)
[220] 문서 機動部隊(学研M)
[221] 문서 機動部隊(学研M)
[222] 문서 機動部隊(学研M)
[223] 문서 戦藻録(九版)
[223] 문서 第八戦隊日誌(4)
[223] 문서 11戦隊日誌(4)
[224] 문서 叢書83ガ島戦
[225] 뉴스 週報 第317号
[225] 뉴스 写真週報 246号
[226] 문서 愛宕奮戦記
[227] 웹사이트 Damaged ship lost http://www.freerepub[...] The New York Times 2014-08-06
[228] 문서 叢書83ガ島戦
[229] 문서 11戦隊日誌(4)
[230] 문서 第八戦隊日誌(4)
[231] 서적 太平洋海戦
[232] 논문 Guadalcanal
[232] 논문 Guadalcanal Campaign
[233] 문서 山川艦爆隊
[234] 문서 機動部隊(学研M)
[235] 문서 草鹿回想
[236] 문서 吉田比叡
[237] 문서 戦藻録(九版)
[237] 문서 吉田比叡
[238] 문서 続海軍くろしお
[238] 문서 橋本信号員
[239] 문서 聯合艦隊作戦室
[240] 문서 吉田比叡
[240] 문서 草鹿回想
[241] 서적 機動部隊全史 1999
[241] 문서 草鹿回想
[242] 문서 第八戦隊日誌(4)
[243] 문서 吉田比叡
[244] 문서 草鹿回想
[245] 문서 S1706第五戦隊日誌(4)
[246] 간행물 昭和17年7月13日(発令7月12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98号 p.49 https://www.jacar.ar[...]
[247] 간행물 昭和17年11月10日(発令11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82号 https://www.jacar.ar[...]
[248] 문서 "#S1710第五戦隊日誌(4)"
[249] 간행물 昭和17年7月14日(発令7月1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99号 p.50 https://www.jacar.ar[...]
[250] 간행물 昭和17年10月14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4219号 p.32 https://www.jacar.ar[...]
[251] 간행물 自昭和16年6月 至昭和16年9月 海軍辞令公報 昭和16年6月18日付 海軍辞令公報 (部内限) 第657号 https://www.jacar.ar[...]
[252] 간행물 自昭和17年11月 至昭和17年12月 海軍辞令公報 昭和17年12月26日付 海軍辞令公報 (部内限) 第1021号 https://www.jacar.ar[...]
[253] 간행물 自昭和17年7月 至昭和17年10月 海軍辞令公報 昭和17年9月3日付 海軍辞令公報 (部内限) 第936号 https://www.jacar.ar[...]
[254] 간행물 自昭和18年4月 至昭和18年6月 海軍辞令公報 昭和18年5月1日付 海軍辞令公報 (部内限) 第1103号 https://www.jacar.ar[...]
[255] 간행물 自昭和18年7月 至昭和18年9月 海軍辞令公報 昭和18年7月10日付 海軍辞令公報 (部内限) 第1169号 https://www.jacar.ar[...]
[256] 간행물 自昭和17年7月 至昭和17年10月 海軍辞令公報 昭和17年8月31日付 海軍辞令公報 (部内限) 第931号 https://www.jacar.ar[...]
[257] 간행물 自昭和18年1月 至昭和18年3月 海軍辞令公報 昭和18年2月15日付 海軍辞令公報 (部内限) 第1053号 https://www.jacar.ar[...]
[258] 간행물 昭和17年7月14日(発令7月1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99号 p.1 https://www.jacar.ar[...]
[259] 문서 "#第七戦隊記録(2)"
[260] 문서 "#第七戦隊記録(2)"
[261] 간행물 昭和17年6月25日(発令6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89号 p.24 https://www.jacar.ar[...]
[262] 웹사이트 http://www.navweap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